메뉴열기
화순군소개
마한시대 | ⦁ 능주, 화순방면에는 평지를 바탕으로 한 여래비리국(如來卑里國), 동복방면에는 벽비리국(辟卑里國)이 있었던 것으로 비정하고 있다. |
---|---|
백제시대 | ⦁ 화순, 능주, 동복의 세개 현(縣)이 독자적인 행정편제를 유지하였는데 넓은 평야를 끼고 있는 이릉부리군(爾陵夫里郡:능주방면), 냇가 변에 자리잡은 잉리아현(仍利阿縣:화순방면), 항아리 같은 바위가 있는 두부지현(豆夫只縣:동복방면)으로 나뉘어 있었다. |
통일신라시대 ~ 고려시대 |
⦁ 경덕왕이 전국의 지명을 한자화 및 두자로 줄이는 작업을 하면서 이릉부리군(爾陵夫里郡)은 능성군(陵城郡)으로, 잉리아현은 여미현(汝湄縣)으로, 두부지현은 동복현으로 변경되면서 곡성으로 속하게 되었다. 고려시대인 940년에 이르러 능성현은 한자를 바꾸어 능성현(綾城縣)으로 하고, 여미현은 오늘날의 지명인 화순현(和順縣)으로 개칭하였으며 1018년에는 동복현(同福縣)을 곡성에서 보성군 소속으로 변경하였다. ⦁ 1143년에 처음으로 중앙에서 능성현에 감무(監務:현재의 군수)라는 행정관이 파견되었으며 이어 충렬왕 때인 1280년경 동복오씨 조영(祖英) 혹은 조염(祖琰)국사의 고향이라 하여 동복에도 처음으로 감무가 파견되고 고려 말 1390년에 화순에도 감무가 파견되면서 남평현을 겸임하였으니 이때에 이르러 중앙행정이 직접적으로 이곳까지 미치게 되었다.감무관이 파견되기 이전에 이곳은 모두 자치고을로서 토호들에 의한 간접지배를 받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동복현이 있었던 자치고을로는 보령현(保寧縣:현 이서면지역), 대곡현(大谷縣:현 사평편지역), 수촌현(水村縣:현 백아면 수리부근), 압곡현(鴨谷縣:현 백아면 옥리부근) 등으로 나뉘어 있었다. |
조선시대 ~ 대한제국 |
⦁ 불과 몇 년 만에 세 현이 폐치분합을 거듭하게 되는데 처음 1396년에는 화순현을 없애고 능성현과 동복감무(화순현 겸임)만을 두었다가 1405년에 능성현, 화순감무(동복겸임), 1416년에는 순성현(順城縣.화순과 능성 합함), 동복현으로 하였다가 다시 1418년에 이르러 세 지역의 통합이 불가하여 능성현, 화순현, 동복현으로 두었다. 1597년 정유재란의 피해가 너무 심하여 화순현의 백성들은 스스로 폐현을 자청 능성현에 합하였고 1611년에 이르러서야 화순현이 복현되기도 하였다. 이 복현을 기념하여 당시 객관 앞에 심은 것이 바로 화순군청에 서 있는 은행나무이다. 1632년 인조반정이 있은지 10년후 인조의 모친인 인헌왕후의 관향이라 하여 능성현은 일약 능주목으로 한 등급 올라서게 되었다. 이로서 화순지역에는 능주목, 화순현, 동복현의 세 고을로 이어져 왔는데 1655년 동복현의 객사와 전패가 화재로 불에 타자 잠시 화순현에 합하였다가 다시 1664년 세 현으로 있었고, 이 체제는 대한제국시대까지 유지되었다. 1895년 5월 1일 행정구역개편으로 능주군, 화순군, 동복군이 되었으며 대한제국 시대인 1908년 10월 15일에는 화순군을 폐지하여 능주군에 흡수시킴으로써 능주군, 동복군으로 있었다. |
일제강점기 1913년 |
⦁ 능주군을 화순군으로 개칭하고 동복군과 병존하다가 1914년 3월 1일 동복군 마저 폐지하고 화순군에 편입시킴으로써 오늘날의 골격을 갖추게 되었다. |
1932년 11월 1일 ~ 1966년 5월 18일 |
⦁ 13개면으로 조정하여 오늘날 읍면체제를 갖추었으며 1963년 1월 1일 군청이 있는 화순면을 읍으로 승격(읍설치에관한법률 제1177호)시켰고, 1966년 5월18일 영외, 묵곡, 용강출장소를 각각 설치(군조례 제122호)하였다. |
1973년 7월 1일 ~ 1998년 10월 1일 |
⦁ 동면 수만리를 화순읍으로 편입(대통령령 제6542호), 1983년 2월 15일 도곡면 주도리를 화순읍에 편입(대통령령 제11027호), 1988년 8월 17일 화순읍 계소1구를 계소1, 3구로 춘양면 화림1구를 화림1, 3구로 조정(군조례 제1074호), 1996년 10월 12일 화순읍 교리를 교리1,2구로 만연2구를 만연2, 3구로 일심 3구를 일심3, 4구로 광덕 1구를 광덕1, 4구로 청풍면 백운1, 2구를 백운리로 조정(군조례 제848호)하였으며, 1998년 10월 1일 묵곡, 용강출장소를 폐지(군조례 제1563호)하였다. |
1999년 8월 5일 ~ 2003년 2월 15일 |
⦁ 화순읍 만연3구를 만연3, 4, 5, 6구로 일심1구를 일심1, 5구로 대리4구를 대리 4, 5구로 조정(군조례 제1608호), 2003년 2월 15일 화순읍 신기리를 신기1, 2구로 대리4구를 대리4, 6구로 벽라 1구를 벽라1, 3구로 계소1구를 계소1, 4구로 조정(군조례 제1761호)했다. |
2004년 12월 31일 | ⦁ 화순읍 앵남2⦁3구를 앵남2구로, 수만1, 2구를 수만1구로, 수만3, 4구를 수만2구로, 강정리를 연양1구로, 한천면 정우1, 2구를 정우리로, 고시리를 동가리로, 춘양면 양곡1, 2구를 양곡리로, 대신3, 4구를 대신3구로, 용곡1, 2구를 용곡리로, 가동리를 변천리로, 이양면 율계1, 2구를 율계리로, 능주면 만인1, 2구를 만인리로, 도암면 지월2, 3구를 지월2구로, 이서면 창랑1, 2구를 창랑리로, 영평1, 2구를 영평리로 , 안심3구를 안심1구로 통합, 인계3구를 인계1구로, 서리를 야사2구로, 갈두리를 안심1구로, 백아면 송단3구를 송단2구로, 다곡1, 2구를 다곡리로, 용곡3구를 용곡2구로, 동복면 안성1, 2구를 안성리로, 사평면 사수3구를 사수2구로, 남계1, 2구를 남계리로, 복교리를 주산리로 통합, 동면 서성1구를 서성2구로, 청궁1,2구를 청궁리로, 천덕1구를 천덕2구로 조정(군조례 제1832호)했다. |
2006년 3월 8일 | ⦁ 화순읍 교리 1구를 교리1, 3구로, 신기2구를 신기2, 3구로 일심4구를 일심4, 6구로 광덕4구를 광덕4, 5구로 대리 5구를 대리5, 7구로 수만2구를 수만2, 3구로 조정(군규칙 제1076호)하였으며, 2012년 2월 6일 영평리를 영평1구, 영평2구로 조정(군규칙 제1231호)후 현재 1읍 12면 1출장소 342행정리로 운영하고 있다. 동가리에, 춘양면 양곡1, 2구를 양곡리로, 대신3, 4구를 대신 3구로, 용곡1, 2구를 용곡리로, 가동리를 변천리로, 이양면 율계1, 2구를 율계리로, 능주면 만인1,2구를 만인리로, 도암면지월2, 3구를 지월2구로, 이서면 창랑1, 2구를 창랑리로, 영평1, 2구를 영평리로, 안심3구를 안심1구로 통합, 인계3구를 인계 1구로, 서리를 야사2구로, 갈두리를 안심1구로, 백아면 송단3구를 송단2구로, 다곡1, 2구를 다곡리로, 용곡3구를 용곡2구로, 동복면 안성1, 2구를 안성리로, 사평면 사수3구를 사수2구로, 남계1, 2구를 남계리로, 복교리를 주산리로 통합, 동면 서성1구를 서성2구로, 청궁1,2구를 청궁리로, 천덕1구를 천덕2구로 조정(군조례 제1832호)했다. |
2012년 2월 6일 | ⦁ 이서면 영평리를 영평1구, 영평2구로 조정(군규칙 제1231호)했다. |
2013년 11월 18일 | ⦁ 능주면 잠정리를 잠정1구, 잠정2구로 조정(군규칙 제1255호)했다. |
2015년 12월 1일 | ⦁ 도암면 지월 2리를 지월 2리를 지월 2리, 지월 3리로 조정, 이서면 인계1리를 인계 1리, 3리로 조정, 동복면 안성리를 안성 1리, 안성 2리로 조정했다. |
2016년 12월 30일 | ⦁ 화순군 행정구역은 13읍면, 188법정리 341행정리, 970개반에서 13읍면, 188법정리 343행정리, 982개반으로, 행정리 명칭을 OO리(里)로 표기하기로 조정되었다.(군 규칙 제1309호) 행정리가 분리되면서 화순읍 대리 4개를 대리 8리, 9리로 조정하여 화순읍에서 2개 행정리 증가되었고, 화순읍 대리 4리 4개반을 대리 4리 3개반, 대리 8리 5개반, 대리 9리 7개반으로 조정하여 화순읍에서 11개반과, 동면 옥호리 1개반을 옥호리 2개반으로 조정하여 동면에서 1개반 증가되어 총 12개 반이 분리증가되었다. |
2018년 1월 1일 | ⦁ 이장의 정수 변경 : 343명 → 345명(2명 증) / 982개반
|
2020년 1월 1일 |
|
2021년 6월 10일 |
|
2022년 11월 1일 |
|